건강칼럼
H > 건강정보 > 건강칼럼
제목
상식
***평균적 <우량> 기준 : roe>14% roa>7% pbr<3.5 ev/ebitda<6 매증율>20% 영이율>8% 순익율>7% 부채비율<100% 비유동부채비율<100% 유동비율>120% 당좌비율>90% 현금비율>20% 이자보상비율>150% 차입금의존도<20% 자기자본비율>50% 고정비율<100& 총자산회전율>100% 매출채권회수율<50일
@@주식의 가격결정 --주식평가모형과 할인율
"이와 마찬가지로 주식시장 전체의 per은 현재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을 전부 지불하고 소유하게 되면 얼마의 당기순이익을(상장사 전체의 당기순이익 합) 얻을 수 있는가, 즉 현재 주식시장에 투자할 경우 얼마의 금리를 얻을 수 있는가를 말하는 것이다. 현재 주식시장의 per이 10이라면 그 역수(1 나누기 10)에 해당하는 10%가 주식시장의 금리가 되며, 주식시장의 per이 12.5라면 그 역수(1 나누기 12.5)에 해당하는 8%가 주식시장의 금리가 된다.
현재 주식시장의 금리를 안전자산의 금리인 무위험 수익률과 비교하고 몇 퍼센트나 초과 금리를 주는지 파악하여 주식시장의 투자매력도를 판단하는 방법이, 바로 fed 모형이라고 하는 주식시장의 평가도구이다."
"장기적으로는 업종 내 경쟁력과 브랜드 가치, 각종 사업, 비용구조 등에서 변화가 없는 기업의 할인율이 평균적인 10% 수준에서 14% 까지 올라갔다가도 7% 까지 내려갔다가 하는 것이 바로 주식이다. 물론, 이 상상 속의(하지만 지극히 현실적인) 기업은 중장기적으로 대한민국 상장사들의 평균적인 경쟁력과 리스크를 지녔기 때문에, 펀더멘털을 감안하면 적정한 할인율은 10%가 맞다. 그런데, 그런 부분을 잘 보지 못하는 ‘공부가 없는’ 투자자는 낮은 할인율과 높은 주가에 매수해서, 높은 할인율과 낮은 주가에 매도하여 손실을 보고, ‘공부가 있는’ 투자자는 높은 할인율과 낮은 주가에 매수해서, 낮은 할인율과 높은 주가에 매도해서 수익을 보는 것이다. 예금상품과는 달리 각 기업에 대한 주식시장의 할인율(리스크)이 변동하는 것이 바로 주식시장의 특징인 것이다. (펀더멘털을 고려한 할인율은 잘 변동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렇다면 왜 상장사의 유지가능한 수익률(투자수익률, 자본수익률)에 비해서 리스크(할인율)의 변동성이 큰 것일까. 그것은 두 가지 이유인데, 은행예금과 주식 종목의 특성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할인율이란 자본비용을 의미한다.
자본비용이란 기업이 자본을 사용하는 대가로 자본제공자들에게 지급하게 되는 비용으로 볼 수 있다. 기업이 주식을 발행하여 주주들에게서 자금을 조달할 경우에 그들에게 그 대가를 배당의 형태로든 자본이득의 형태로든 지불해야 한다. 즉, 투자자들은 기업에게 자금을 빌려준 대신 일정한 대가를 요구할 수 있는 것이다. 은행에 예금할 때는 예금이자를 요구하는 것이고 채권을 구입할 때는 채권으로부터 벌어들이는 이자수익을 그리고 주식을 구입하게 되면 배당금을 요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투자한 금액에 일정한 프리미엄을 붙여 수익을 요구할 수 있게 되는데, 바로 이러한 수익률을 요구수익률이라고 하며 할인율과 같은 개념이다.
-----어느 투자자가 현재 가격이 10만원인 주식을 구입하려고 한다. 이 투자자는 최소한 1년동안 10%의 수익률을 요구하며 이 주식은 아무런 배당이 지급되지 않아 배당소득은 기대할 수 없고 단지 자본이득만을 기대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투자자는 10%의 수익을 올릴 수 있기 위해서 이 주식을 1년후에 11만원에 매각할 수 있어야 한다. 1년후의 주식가격= 100,000(1+0.1)=110,000원 반대로, 현재의 주식가격=110,000/(1+0.1)=100,000여기서 10%는 이 투자자가 요구하는 수익률임과 동시에 이 주식가격을 적절하게 결정하게 해주는 할인율이 된다.
----(할인율=요구수익률=무위험수익률+위험프리미엄) <여기에 기대이자수익률+인플레율-성장율>을 추가하기도 함.....보통 주식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할인율은 자본자산결정모형(capm)이론의 증권시장선(sml)에 의해서 결정되는 할인율을 사용한다. 이 할인율은 아무런 위험이 없는 증권에 투자하였을때 얻을 수 있는 수익률, 즉 무위험수익률(rf)에 각 주식이 내포하는 고유의 위험을 반영하는 위험 프리미엄(rm은 시장포트폴리오 기대수익률)을 합쳐서 결정된다.
%%할인율 또는 시장기대수익률 공식 e(rf) =rf +{e(rm)-rf}x beta-i
::::: rf 무위험이자율, e(rm) 시장포트폴리오 수익률, e(rm)-rf 위험보상율, beta-i 자산의 베타계수<주깃이 시장 따라 반응하는 민감도>
-----무위험수익률은 보통 국채나 지방채와 같이 수익이 확실히 보장되는 증권의 수익률이기 때문에 쉽사리 알 수가 있지만 위험 프리미엄은 각 고유주식이 갖는 위험을 나타내므로 쉽사리 알 수가 없다.
주식시장의 동향과 비교해 볼 때 특정 주식이 민감하게 반응하면 위험 프리미엄이 높으며 그렇지 않고 주식시장의 변동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주식이라면 위험 프리미엄이 낮게 책정된다.
[출처] 워렌 버핏처럼 적정주가 구하는 법
1. 그냥 순이익이 아니라 주주이익을 이용하라
2. 주주이익 = ni(당기순이익) + da(감가.감모상각비) -연간 평균 capex - 운전자본금 지속적평균증가분
** <참고>잉여현금흐름fcf = ebitda - capex - 운전자본, 즉 fcf는 영업이익에서 출발하나 주주이익은 영업외적인 부분까지 고려한 순이익에서 시작한다. 주주이익=fcfe(fcf of equity). 주주에게는 이자손익과 같은 현금발생 비용이 의미가 많다. )
** capex(자본적 지출)는 일시적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capex의 (수년 동안의) 추정평균값을 사용해야
** 운전자본도 일시적 변화가 아니라 그 변화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예상되는 경우 추정하여 반영해야 (운전자본 working capital = <재고자산 + 매출채권> - <매입채무> = 사업영위에 들어가는 자본) --> 운전자본이나 capex의 추이를 보려면 자연스럽게 장기간의 재무제표를 검토해야함
3. ebidta의 문제점은 유형자산 투자 비용인 capex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다. ** 다리 건설후 통행료를 받거나 가스유전사업 같은 경우는 지속적, 반복적 capex를 상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제조업, 유틸러티, 소매업() 에서는 반드시 capex를 고려해야 한다.
4. 버핏의 내재가치 = 자본총액 * 자본주주이익률 / [무위험수익률 + (기대인플레율 - 예상성장율)] = 자본총액 * roe / [rf + ( ie - ic) ]==거의== 자본총액 * roe / 할인율 =총자본 *(eps/bps) /할인율 = 총자본*(eps/bps)*11 <** pbr = roe * per ** roe=pbr/per=eps/bps>
5. 버핏의 할인율 = max[무위험수익률+기대인플레율+자본소득세율 더한 <추정할인율>값 (or) <시장>할인율의 하한선 중 택일]
== 즉, 할인율 하한선을 정해놓고 그 이하로 나오면 하한선의 할인율을 적용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국채수익률에 인플레율을 더하고 거기에 다시 소득세율을 더하여 할인율을 가정하는 것으로 봄 [ 쪼개어 보면,,,,2015년 국채<10년장기>수익률 현재 2.19% 2015년추정인플레율2.5%, 자본소득세율은 보통 0.3%] (농특세 0.15% +거래세(0-0.15%==증권회사마다 다름) ::: 대한민국 주식시장의 경우 농특세 등 몇가지 거래세와 수수료 ==코스피나 코스닥 모두 매도 때에 1회당 0.15-0.3%씩 추가징수, 프리보드는 0.5%<상장전 장외매도시에는 양도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율이 더 추가됨----벤처나 중소기업은 소득액의 10%, 대기업은 20%... 단, 상장후에 매도시는 없음>) ===><버핏의 할인율>에서 언급하였듯이 2015년에도 주식시장할인율은 9%로 선택해서 적용, 적정주가를 산정할 때에는 주당순이익의 11(10-12)배를 곱하여 추정
6. 일반적인 dcf에서 할인율로 wacc<추정자본비용...일반채권자의 할인율도 고려>를 사용하나 버핏은 자본비용(coe...주주만을 고려)만을 할인율로 사용한다. 주주가 일반 채권자의 할인율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다.
7. 버핏은 베타를 개별주식의 리스크로 인정하지 않으며 단순히 자본비용에 높은 리스크를 반영한다고 해서 사업 고유의 리스크가 해소되는 것도 아니라고 한다. 사업고유의 리스크는 사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파악해야하며 따라서 그기업의 고유 해자<=지속경쟁우위> 여부가 중요하다.
8. 버핏이 선호하는 기업
- capex가 연간 감가상각비 범위내에서 지출되고 - 낮은 부채비율에도 불구하고 평균이상 roe를 보여주는기업 - capex가 감가상각비 내에서 해결되고 부채가 낮다면 주주이익은 순이익과 거의 같다.. (세금차이) - 주주이익과 순이익의 차이가 큰 경우는 순이익이 아닌 주주이익을 자본총액으로나눈 roe를 써야한다.
@@@*미래 현금의 현재 가치 pv = a(원금)/(1+r)^y..... < r : 할인율 5%, 주식시장의할인율은 보통 9%로 적용... y=연수...매년 일정한 현금수익 a 발생 전제>
==>지금부터 불특정 미래까지의 기업이 지속되는 동안 창출가능한 현금흐름의 총합을 현재의 가치로 할인하여 더해준 것을 <기업내재가치>라 하고 다음의 공식으로 계산한다..
*****기업내재가치 = sum(y=0 to n) of a/(1+r)^y
@@@*현금의 미래가치와 복리의 마법***주당세전순이익/할인율 = 주당세전순이익 x 10 ==>주가(근접)
*****현금의 미래가치 fv=a x (1+r)^y
: 예>현재 100만원, 이자율(또는 할인율)5% -- 4년후 가치=100만원x(1+0.05)^4 =121만5506원........ 이것이 복리의 장점(주식투자의 잇점이 바로 그러하다..거치식 개념의 투자금액<투자조함형태로 종자돈을 모아라>원금이 클수록, 이자율이 높을수록<년 10-20-30% 지속적 수익률roe 목표 !!!>, 투자 기간이 길수록<10년이상>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연금과 같은 매년 일정수익의 <은행대출금리-이자율 또는 할인율-에 따른> 총재산가치
*****현재시점에서 계산한 연금성 수익의 총재산가치= a/r (r=은행신용대출금리 5% 적용)
: 예> 연봉5000만원 직장인의 총재산가치 = 5000만원/0.05 =10억원
: 예> 매년 500만원, 평생 받는 퇴직연금의 총재산가치 = 500만원/0.05 =1억원
###20년간 연평균수익률49%-조엘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
: 실제가치보다 염가에<안전마진>보유한 <이익을 많이 남기는> 우량기업 찾기
---자본수익률별 순위와 이익수익률별 순위를 매기고 그 순위 숫자를 더한 값들을 서로 비교해서 상위순으로 배열<수치가 낮은 기업을 먼저 선택하되>, 분기별로 5-8개의 기업을 추가하여 마침내 20-30여개의 기업을 선택, 1년단위로 5-8개 기업을 교체해 나가는 방법...((공기업-금융주<은행-보험사> 제외))
##자본수익률roc>12%=세전영업이익(ebit)/투입유형자본(=<이미 감가상각한>순고정자산+순운전자본)
##(가치)이익수익률>최소12%=세전영업이익(ebit)/ev(기업가치= 시총+이자발생순부채<타인자본>)
=====>변법 : 스크리닝 : roa= 세후순익/총자산>최소0.25 ==>per>5 확인
@@순고정자산(감가상각한 고정자산의 합) = 고정자산 - 감가상각충당금 @@순운전자본 = 유동자산 - 유동부채 @@ebit (이자비용/법인세 차감전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 법인세 + 이자비용 @@ev(기업가치)=시장가치+부채가치 =시가총액+순부채(이자 발생 장단기부채-잉여현금예금자산) ***투자초기수익률 =세전세후eps/주당매입가 :1%차이라도 후엔 크게 차이남....roc은 <우량회사판단기준>roe처럼 기업이 지불하는 복리이자 개념, eps증가는 주가상승-이익수익률의 증가로 연결되며 매입가격이 낮을수록 이익수익률차이는 점점 커짐.. 이익수익률 <초기투자수익률=세전세후eps/매입가격--안전마진 크기에 비례>에 있어서 투자자가 <충분한 안전마진>을 두어 구매한 매입가격은 누적수익률 크기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eps/구매가격비율은 처음엔 초기투자수익률이 되고, 그 후로는 매년 eps를 원구매가격으로 나눈바 실제 이익수익률이 됨 **안전마진 40%는 0.6x[(본질가치+약식가치)/2]로 얻는다. 이 가격이하라면 매수
88888888888888888888 http://www.selffund.co.kr/main.asp
*****주가수익률 또는주가수익배율(price to earning ratio) : 10-12배를 적정하다고 평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 : earning per share)으로 나눈 값, 여기서 eps는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 per은 주가를 수익과 비교했을 때 주가의 몇 배 정도되는지 표시하여 주가가 얼마나 제대로 평가되고 있는 가늠하여, 종목이나 국가 사이의 주가수준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 지표. 보통 per를 구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순이익을 총 주식수로 나눈 값인 eps를 먼저 산출. (예컨대 어떤 회사의 주가가 10,000원이고, 1주당 수익이 1,000원일 때 per는 10이 되는 것이다.) 주가수익비율이 낮으면 해당 기업의 주가가 실제 가치에 비해 저평가돼 있다는 것을 뜻하고, 장래에 주식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반대로 주가수익비율이 높다면 주가가 지나치게 높은 상태를 나타낸다. 통상 증시 전문가들은 10∼12배 정도를 적정 수준으로 보며, 이 비율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된 것으로 해석. 물론 절대적인 기준은 없지만 대체적으로 per가 10 이하일 경우 저per주로 보고 있다. 한편, per는 순이익을 기준으로 산정되므로, 적자기업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
주가매출액비율(psr, price to sales ratio)
---psr은 요즘 들어 기업의 안정성을 평가할 때 자주 인용하는 지표입니다. 한 기업의 매출 총액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것을 주당매출액이라고 합니다. 주가를 이 주당매출액으로 나눈 값이 주가매출액비율입니다.
psr이 낮을수록 이 기업의 매출액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 되어 있다고 판단을 합니다. 앞서 설명한 per이 기업의 순이익을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라면 psr은 기업의 매출액을 가지고 계산합니다.
그럼 기업의 이익과 매출액으로 굳이 구분 짓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매출액은 손익계산서를 볼 때 첫 번째로 나와 있는 항목입니다. 그만큼 중요하고 상징적인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이익은 여러 가지 계수를 조정함으로써 늘릴 수도 있고 줄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매출액을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것은 쉽지가 않습니다. 따라서 한 업종에서 해당 기업이 어느 정도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때 매출액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출액과 이익은 대체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매출액이 증가했다고 이익이 꼭 그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 매출액은 일정한데 이익이 줄거나 늘거나 할 수도 있습니다. 연구개발비용이 늘어났다거나 인원의 구조조정이 생긴다거나 혹은 자산을 처분했을 경우도 있고 이익의 변동치에는 여러 가지 이유를 들 수가 있습니다.
a라는 기업이 올해 적자가 났기 때문에 주가가 많이 하락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때 우리는 psr을 살펴봐야 합니다. 만약에 psr이 크게 변한 게 없다면 작년과 비교해서 매출액은 큰 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적자가 났다면 어떤 요인이 있었는지를 살펴야 합니다. 연구개발비가 크게 증가했다거나 혹은 구조조정으로 인해서 일시에 자금이 빠져나가 적자가 났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주가가 현저하게 저평가 되었을 때 매수를 고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psr은 기업의 이익이 들쑥날쑥 할 때 그 기업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즉 안정적인 매출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회사라면 일시적인 이익의 변동을 이용해서 투자수익을 얻을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싸이토젠 === 혈액 속에 떠돌아다니면서 전이암의 원인이 되는 혈중종양세포(ctc)를 혈액으로부터 분리 및 검출하고, 배양해내는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세계 최초로 상용화 수준의 ctc 배양에 성공. <암의 조기진단 , 표적항암제 선택과 효과 판단, 생존율 분석> 미국의 다국적제약회사인 일라이릴리사에게 동사의 material을 판매하는 협상을 진행중-- 4월 통일주권,
암 환자의 90%가 ctc에 의한 전이암으로 사망, 따라서 ctc의 조기 발견 분석은 암의 조기진단과 치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싸이토젠은 '표적항암제 개발을 위한 임상연구용 비즈니스모델 개발', '종양세포 획득을 위한 희소세포 검출 디바이스 개발', 'ctc 검출 기술을 활용한 최소침습 alk유전자 변이 진단 개발' 등 지금까지 7가지의 정부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으며, 현재도 3개의 정부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2015년은 그동안 개발한 기술을 본격적으로 세상에 내놓게 되는 원년이 될 것, 4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되는 미국암학회(aacr), 5월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9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최되는 유럽암학회(esmo)에서 싸이토젠의 독보적 기술을 발표할 예정이다. 2015년 하반기 기술성평가 진행 후 연내 상장심사 청구 계획
**에너솔라 :: 에너솔라(중전사업부/태양광사업부--중전기기 태양광 led 지열 사업)스마트 열원제어 지열시스템'이 조달청 우수조달물품으로 선정. 에너솔라의 스마트 열원제어 지열시스템은 열교환 성능을 최적화하고 압축기 병렬운전 제어로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휴일 및 야간의 잉여에너지를 다양한 열원으로 활용해 전력 예비율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에너솔라는 1995년 전기공사를 전문으로 하는 극동전력으로 출발하여 2005년 아이파워로 상호를 변경하고 it기술이 융합된 고품질 수배전반등 중전제품을 공급해왔으며, 2011년에는 고효율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주력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전문기업으로 탈바꿈하면서 지금의 에너솔라가 되었다. 에너솔라는 부설연구소에서 개발한 자기유도방식 무선열감응 센서를 탑재한 수배전반으로 지식경제부의 nep인증을 통과하여 앞선 기술력을 입증하였으며, 수배전반과 함께 mppt기술을 접목한 고효율태양광시스템에 대한 조달청우수제품지정을 통하여 품질과 상품성을 검증받아 국내외 시장개척에 매진하고 있다.
**엑시콘 459-4500/(5.1/4.8-10.2초투율) 총자34556088/6823주=bps 5064x2=10128 eps 433(1299) 876(1752) 377 571.3x30=17140 본질5453.6<17.4> 약식 9750 =7601<40.8>
반도체 메모리 제품 및 광소자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2001년 3월 8일에 주식회사 테스트이엔지로 설립되었으며, 2005년 8월 9일자로 상호를 주식회사 엑시콘으로 변경한, 반도체 테스트장비 분야의 기술 선도기업을 지향하는 엑시콘은 2001년 설립되어 반도체 및 기타 전자부품, 반도체 메모리 component, module 제품 및 광소자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하는 기업. 엑시콘은 차세대 d램인 ddr3용 주검사장비(메인테스터)를 개발하고 상용화 하고 있다. 엑시콘은 단품 주검사장비인 'ex3100' 과 모듈 장비인 'ex7200'을 개발하였고 단품과 모듈 검사장비는 한번에 가각 256개와 16개의 칩을 검사 할 수 있다. 또한 엑시콘은 2012년 빠른 속도로 컴퓨터 데이터를 읽고 사용할 수 있는 ssd 테스트 시스템을 개발, 삼성전자에 납품하기도 했으며, 중국, 필리핀, 브라질 등에 판매하고 있으며, 설립된지 10년만에 연간 2천말 달러를 수출을 하기도 하였다. 엑시콘의 자본금은 34억원이고, 주식 액면가 500원에 주식수 6,823,500주이다.
**디와이엠 ..<934-5000.385>본부177% roe=25 총본16024169/4800주=bps 3338 x2=6676 eps-835(2505) 102 1496 700.8x30 =21025 **본질=5540 **약식 13498 **9519
===세계 3위 규모의 전선피복용 고무화합물 제조 업체.. 디와이엠 전력 케이블용 나노 컴파운드를 세계 최초로 개발 @달성목표 1. 2015년 매출목표 3000억달성 2. 2020년 매출목표 10000억달성 3. 2020년 반도전 재료 global top 달성 4. 2020년 green compound global top 달성 @사업 기술의 특성으로서는 clean factory-(-연간 4천여톤의 카본을 사용하면서 카본 누출zero) mmi auto mode system(--설정된 조건에 따라 연속적 생산 / 균일한 품질 유지) auto inspection system(--생산과 통시에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품질 특성 판정)-
=== 20여년간의 전선용 컴파운드 경험으로 초고압 반도전 재료, 친환경 무독 난연재료, 고압epr 절연재료 및 고무재료를 21세기 전문화된 최신형 설비로 생산. 최근에는 환경 친화적 제품개발에 편승하여 mobile phone, automobile, buiding wire, electric train wire 등에 사용되는 피복소재를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신기슬로 개발 상용화
● 전력 케이블용 나노 컴파운드 세계 최초 개발---전력 케이블 컴파운드는 중압·고압·초고압용으로 나눠지는데, 디와이엠은 반도전 컴파운드가 주력 상품. 특히 세계 최초로 전력케이블용 나노(nano) 반도전 컴파운드를 개발. 나노 반도전 컴파운드는 절연두께의 감소뿐만 아니라 전도성 필러의 함량이 획기적으로 감소돼 전력케이블 제조 시 발생하는 장기 스코치 안정성, 표면 돌기, 압출시 작업성 저하 등 불량요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해준다. 디와이엠은 초고압 시장에서 세계 최고 기술력을 갖고 있는 일본에 한국기업으로서는 유일하게 반도전 재료 판매를 시작,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전선회사들을 비롯해 세계 각국 전선회사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다. 디와이엠은 반도전 컴파운드 외에 난연무독성(hffr) 컴파운드, 고무(rubber) 컴파운드, hfix 컴파운드를 제조해 전선재료 시장을 선도해 나가고 있다. 특히 hffr 컴파운드 기술은 2012년도 대한민국 기술대상에서 은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관하는 ‘1조원의 수출 가능성이 있는’ 글로벌 전문 후보기업으로 지정.
● 디와이엠 중동자본 유치 '성과' ---천안시 서북구 업성동 제2산업단지 내에 있는 (주)디와이엠이 아랍에미리트 '시나트'사로부터 520만 달러 규모의 외자유치에 성공. 시나트는 투자협약을 통해 신규투자를 합의하고, 앞으로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 합작투자형태로 판매법인 설립을 약속했다. 세계 3위 규모의 전선피복용 고무화합물 제조 업체인 (주)디와이엠은 이번 투자유치로 재무구조를 견고히 하고, 해외 전진기지 구축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
**알티베이스(180-3500-주당순현금443.385)본부34% roe 7.6% 총본20934974/6495= bps3223x2=6446 eps 247(741) 487 216 *321x30=9630 **본질 3220 **약식 4845 ***4035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개발및 공급, -그리고 유지보수를 해주는 기업..실시간 초고속 데이터 처리와 대용량 데이터저장을 동시에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dbms로 국내 sw시장에서 토종 dbms의 자존심을 지켜오고 있는 국내 최고의 dbms 기업.
----알티베이스dbms 및 hdb v6 gs 인증 획득, (알티베이스hdb- on-disk db에 in-memory db 융합, 하나의 엔진에서 빅데이터를 저장-처리-관리하며 이력데이터처럼 접근빈도가 낮으면서도 양이 많은 데이터는 디스크에 배치하여 빅데이터 업무 최적화 도모함과 동시에 초고속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구동 가능케 한 업무 최적화형 db), (xdb extrem in-memory dbms는 현존하는 어떤 dbms보더 더 뛰어난 다른 차원의 비즈니스 속도 구현 -- 통신/금융 방면애 최적화), 세계최초의 범용엔터프라이즈 db)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기업이며 알티베이스는 정부의 스마트시티 도시통합운영플랫폼에 알티베이스hdb사용--국토교통부의 공간정보오픈플랫폼,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대전광역시 항공영상및 수치지형도 시스템 등의 gis 프로젝트에 자사 dbms를 공급, 경찰청지문감식시스템에 dbms제공 및 온라인소통 시스템 기술지원, ebs single sign-on(sso) 기능 통해 1천만 가입 가능 토록 지원, kcomwel(근로복지공단 실시간데이터분석 --사회보장및 노동복지정책 지원), scada(<코리아 에너지라인>의 감독 통제 및 데이터 수집 --품질 보증 향상과 위험 완화 성과--회사의 매출과 평판 호전 결과 도출), 서경대학교 종합정보시스템의 부하를 완벽히 해결한 바 있음. (2015-3000억 매출 목표)
---최상의 dbms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핵심 기술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와 투자를 통해 세계 최고의 dbms 기술력을 확보, dbms 소프트웨어는 물론 data performance 솔루션까지 아우르며 글로벌 it기업으로 성장해나가고 있다. 고객사로 telecommunications [sk telecom], telecommunication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nancial services [samsung securities], financial services [ibk 투자증권], manufacturing [lg display], manufacturing [posco], public sector [kaist] 등이 있음..
---최근 글로벌 지리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기업인 에스리와 상호인증을 마쳤다. 에스리와 gis 소프트웨어 '아크 gis' 를 이용하는 기업이나 기관은 dbms 로 알티베이스 hdb를 선택할수 있게 되었다. 에스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레즈랜드시에 본사가 있으며 전세계 1위 gis 분야 소프트웨어 기업.
----글로벌 기업에 한발짝 다가선 알티베이스 ====미국스타트업(이노캡션)에 청각장애인 통신중개서비스(telecom.relay)를 위한 알티베이스 hdbms를 공급..
**아이티엠반도체 본부230% roe-19.7 총본37700330/6260주=bps6013.8 x2=12027 eps- 1184(3552) 367(734) 586 *812x30=24360 *본질7277 *약식18386 **12831
-2차전지 배터리 보호회로의 핵심부품인 poc이 주력사업(배터리팩과 e-loop antena를 제조 : tep-5l/6l. utep-6l/6ls, battery pack 등이 주제품)----battery pack를 제조하는 업체 2차전지 보호용 ic시장에서 전세계 m/s1위를 차지
===우수한 품질과 우너가경쟁력을 바탕으로 major휴대폰제조업체인 삼성전자,lg전자, nokia ,motorola, apple등에 위 기업 제품인 pmp,battery pack을 납품하는 우량업체로 성장
**실리콘마이스터(액면-100) 본부102%, roe-15.3 총본32047000/18287<919 >주/13-12/31 =bps 1752x2=3504 18287<919 >주(13-12/31) 19274<919 >주(12-12/31) 9370<522 >주(11-12/31) ==== eps-269.3(807.9) 773.4(1546.8) 579.2 *489x30=14669 *본질3634.7 *약식 3112 **3373
실리콘마이스터<전력관리반도체 아날로그칩 설계 세계 최고수준...led디스플레이용, 휴대폰 및 기타 가전제품용 아날로그 전력관리반도체pmic제조 설계>는 2007년 2월 반도체 칩 제조업등을 목적으로 설립하였고 2013년 1월 자본금으 19억원으로 증자(무상증자) 2012년결산 총자산 680억원 자기자본 370억원
실리콘마이스터는 고성능 /교효울 스마트 pmic솔루션의 개발,제조및 유통을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회사입니다. 이를 통해 태블릿, 휴대폰 ,tv, 노트북 , 모니터 등 다양한 전자제품의 선능향상을 위한 전력관리 솔루션을 제공
실리콘마이터스는 전력 아날로그 칩 설계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실력과 오랜 경험을 가진 엔지니어들을 보유하고 있는 젊고 역동적인 회사. 당사는 2007년 및 2009년 미국 실리콘밸리의 유명 벤처캐피탈인 walden international과 eplanet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으며, 2010년 흑자 전환을 성공한 후 지속적인 성장과 흑자경영을 기록하고 있다. 2009년에는 gsa로부터 ‘주목할 벤처기업상(start-up to watch)을, 2011년에는 ‘최고 성장 기업상’(best revenue growth)을 수상했다. 또한 2011년에 deloitte technology fast 500 in asia 부문에서 2위를 차지하였으며 중소기업청으로부터 매출천억기업상을 받았다.
**심플렉스인터넷(4600)--온라인서비스업, 소프트웨어 제품개발, 판매 및 공급업, 컴퓨터 정보처리관련 교육 및 자문업, 소프트웨어 자문업, 전보통신관련 광고 대행업등 인터넷 관련한 전자상거래등을 영위.. 2005년9월 국내 최초 64비트 웹 호스팅 서비스 개시.. it 비즈니스 분야의 포트폴리오를 완성하고 있는 성공기업 it비지니스 분야의 포트폴리오를 완성하고 있는 명실공히 성공기업으로 회사의 대표브랜드 '카페 24'를 통해 it 업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이밖에 심플렉스인터넷은 쇼핑몰 디자인 사이트 '카페24 디자인센터' '마켓팅센터-인터넷광고대행' '호스팅센터' '쇼핑몰센터'와 실시간 증권 방송서비스 '이챗' 등을 운영하는 것은 물론 서버관리, 도메인 등록서비스에 이르기까지 it 비지니스 관련 사업을 아우르고 있다. 2008년 필리핀과 중국에 해외지사를 설립하였으며, 2012년엔 일본에도 해외지사를 설립하여 해외에 진출을 필요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를 돕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심플렉스인터넷의 매출부분은 점점 상승곡선이 가파른데, 2008년 약198억원, 2009년 약300억원, 2010년 약400억원, 2011년 약500억원, 2012년 약550억원의 매년 흑자를 기록,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주식수는 보통주 5,130,570주 액면가 5,000원 주권은 통일주권
@@여의시스템 >> <171-3500...4.9>(주당순현금-145, roe-4.3)본부41%, 총본20977055/4500주= bps 4661.56 x2=9323 eps 205(615) 270(540) 1090 *357.5x30=10725 *본질=4009.6 *약식 =6420 **5215.. 산업처리공정제어장비제조업...자동화 산업용 컴퓨터 전문기업... 1991년 법인 전환이후 단한차례도 적자를 낸적 없는 업체 == 10년이상 산업용 컴퓨터를 다뤘고, 여의시스템이 성장할 수 있었던 계기는 바로 고객이 원하는 기능과 디자인을 구현하는 맞춤형 제작 컴퓨터. 여의시스템이 만든 커스터마이징 컴퓨터는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 컴퓨터 내부의 열을 최소화함으로써 이로 인한 문제를 줄인 제품과 타 장비와 연결해 사용할 수 있도록 모양이나 사이즈를 맞춤형으로 만들기도 했으며, 안 쓰는 기능을 제외하고 사용하는 기능만을 넣은 원가절감형 제품도 선보였고 다수의 보드를 채용, 하나의 장비로 다수의 컴퓨터 기능을 구현한 제품이나 일반 기성품에 비해 성능이 크게 좋은 기기 등 다양한 제품을 내놓았다. 여의시스템은 이후 산업용 컴퓨터 사업을 넘어 특수용 컴퓨터로 시장을 확대했으며, 특정 목적이나 기능에 특화된 임베디드 솔루션도 다루기 시작하였고, 2009년 디지털 사이니지(디지털 전광판), 키오스크 (무인정보단말기) 등으로 영역을 넓힐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새롭게 시작한 디지털 사이니지와 키오스크의 경우 최근 수년간 주요 사업 중 하나이자 매출 효자상품으로 성장할 정도로 시장의 반응이 좋았다. 여의시스템은 매년 이익 중 일부를 새로운 비즈니스 발굴과 r&d에 투자하고 있다.====자동제어 관련분야 한가지 길을 걸으면서 산업용 컴퓨터와 임베디드 솔루션 컴퓨터 보안장비 하드웨어 플랫폼 산업용 네트웍 장비분야, 그리고 엘리베이터 관제 및 히터 미러링 시스템 원자력 발전소 폴트레코딩 시스템 등의 시스템 통합 분야 사업을 영위 중, ===<산업전자부--산업용컴퓨터, 산업용lcd모니터, 패널컴퓨터-워크스테이션, 산업용da&c, 블레이드서버 특수방폭형컴퓨터, 산업용 fan-less, 임베디드보드><특수산업용 임베디드제품>====최근 여의시스템은 저탄소 녹색성장 트랜드에 맞춰서 솔라셀 관련 장비 국산화, 그리고 환경관리 시스템의 분야로 영역을 넓혀오는중 ===현재 여의시스템이 보유중인 산업용 컴퓨터 특화 기술을 중심으로 새로운 응용분야를 끊임없이 개척하는 한편 이를 확대하려는 노하우를 보유 <디지탈사이니지==꿈꾸는 그것을 현실화함>===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헬스케어 분야를 설정하고 it와 융합된 헬스케어 제품을 준비중
@@파멥신 -- 올 1월에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해 기술성평가를 통과해 4월에 청구를 앞두고 있는 항암 항체치료제 기술을 보유... 치료제 중 '타니비루맵'은 국내 임상1상을 마치고 임상 2상을 진행할 예정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anti-kdr 항체로서 악성뇌종양 임상 2상이 성공한다면 바로 상용화 될 수 있다. 올 1월에 중국 '3sbio' 사에 이중표적항체 dig-kt 기술을 이전해 향후 한국과 중국 지역에 해당기술의 개발 및 판매에 대한 권리이전으로 기술선급료 및 마일스톤에 따른 정액기술료, 그 외 판매수익에 따른 경상로얄티를 받게 되었다. dig-kt 기술은 파멥신이 보유한 완전인간 이중표적항체 원천 기술 가운데 하나로 암세포(이미 유방암, 간암, 뇌종양, 췌장암 등의 질환동물모델은 효과를 확인함)의 성장과 신생혈관 형성에 상호 긴밀하게 관련된 두가지 신호전달기작을 효과적으로 저해해 암세포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는 항암 항체치료제 기술===. 난치성 암 치료에 있어 우수한 잠재력을 지닌 항체신약 후보물질로 향후에는 다양한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치료 및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중요한 역할을 할 것 지금은 명의개서로 거래 가능하지만 4월에 통일주권으로 전환예정. 주간사는 삼성증권으로 정해졌고 공모가가 대략 19000 원...현재 장외거래가가 23000~21000 원
@@세경하이텍 5500..본부-24% 총본48944938/4800=bps 10196x2=20393 eps-382.86(1148) 4206(8412) 2145 *1951ㅌ30=58527 *본질-15784<65 > *약식-11537<52.3> **13660<60 > **2013가치=31046... 세경하이테크는 2006년 1월에 법인설립된 중소기업으로 lcd-blu용 테이프와 필름, 스마트폰/태블릿pc용 tsp테이프와 필름을 생산. 국내외 4개의 사업장을 운영. 2006년부터 삼성전자 1차 협력업체로 등록돼 제품을 납품.. 스마트폰/태블릿pc용 필름과 테이프 사업의 성장성은 높고, 생산 능력-수익성이 모두 안정적인데다 공급처도 다양화하고 있다. 최근 tsp용 tape시장에서 국내 최고의 품질과 기술을 보유중이며 주요 생산품은 스마트폰/lcd-blu에 부착되는 테이프 및 필름, 2010년 중대형 tsp(터치스크린패널) tape및 film 생산 시작하고 2011년 세경하이테크 기술연구소를 설립. 2012년 홍콩 세경과기유한공사를 설립을 시작으로 중국 동관 세경전자과기유한공사설립, 2013년 3차 유상 증자후 자본금 24억원 확보--액면분할 실시로 현재 액면가 500원. 2013 말 베트남 하노이에 <세경비나>를 설립, 제50회 무역의 날 2000만불 수출의 탑과 대한민국 산업포장 수상. "스마트폰 터치패널 필름과 각종 테이프류는 향후에도 계속 성장할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가 감소하면서 부품관련 회사들도 동반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현재 사실" "중장기적으로는 모바일쪽에 특화돼 있는 사업을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 할 수 있도록 할 계획".
@@신한기계--<2013, 6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사모로 5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하면서 재무적투자가와 3년 내-2016년까지- 기업공개(ipo)를 약속> 본부240%..총본85995489/1540주= bps-55841 1977(5931) 6513(13026) 6136 4182x30=125465 *본질-36261 *약식-113136 **74698
---세계 최초로 천연가스 사용하는 선박연료장치 미국 컨테이너선에 납품…세계시장 선점 기대
---세계 최초로 선박에 벙커c유가 아닌 천연가스를 주 연료로 주입하는 핵심 설비를 제작, '고압 천연가스 연료공급장치'(fgss)를 제작하고 출하식을 가졌다. 이 장치는 기존 벙커c유 대신 천연가스를 선박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연료 비용을 절반 수준으로 절감할 뿐 아니라, 선박의 오염물질 배출량도 현저하게 줄인다. 천연가스 엔진은 동급 출력의 디젤 엔진보다 질소화합물 80%, 황화합물 95%, 이산화탄소 23%까지 감소시킨다. 특히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모든 산업 분야에서 청정에너지 시스템 수요가 커지고 국제해사기구(imo)도 2016년부터 환경규제 강화를 예고한 상황이어서, 이 장치의 상용화는 조선업계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fgss의 원천기술과 특허는 원래 대우조선해양이 보유하고 있는데, 신한기계가 이를 적용해 처음으로 제품화에 성공한 것. 이번에 생산된 장치 2기는 모두 선박엔진 제작사인 독일의 만디젤&터보(mdt)의 천연가스 엔진 me-gi과 함께 미국 나스코 조선소(nassco)에 납품된다. 나스코는 건조 중인 3천100teu급(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컨테이너선 2척에 신한기계의 fgss 시스템과 me-gi 엔진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 컨테이너선이 건조되면 벙커c유가 아닌 천연가스를 주 연료로 하는 세계 최초의 선박이 된다. 무엇보다 fgss 특허 기술을 보유한 대우조선해양이 지난해 세계 최대 선박엔진 업체인 mdt와 특허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 앞으로 fgss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mdt가 앞으로 천연가스 엔진 공급을 확대할수록 이와 연동하는 fgss를 생산한 경험이 있는 신한기계의 세계시장 선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유정기 신한기계 전무는 "2014-1-15 현재 fgss 9기를 추가로 납품하는 계약이 성사 단계에 있다"면서 "2020년까지 환경 규제가 엄격해지면서 천연가스 선박엔진의 수요가 급증하고, 장기적으로는 전 세계 대다수 선박이 천연가스 연료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우진엔지니어링--알루미늄주물제조판매 (비레트,잉곳, 슬라브) 우진엔지니어링은 2007년 11월 30일 설립, 이후 3년만에 년간 매출 820억원 및 흑자를 달성하며 알루미늄 소재산업의 확고한 기술력과 입지를 다졌다. 알루미늄은 재활용이 매우 용이하고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훌륭하므로 자동차, 선박, 반도체, 핸드폰등에 사용되는 철, 스텐레스, 아연등 주요재료의 대체재 역할을 하고 있다. 알루미늄의 국내 수요는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글로벌 자동차시장의 알루미늄 활용도 증가 대비 공급량 부족으로 가격상승 또한 불가피할 전망. 이러한 수요시장에 발맞추어 우진엔지니어링은 국내 알루미늄 비렛트 생산 동종업체 중 많은 원재료를 확보, 생산량이 급증하는 추세 === 2012년 적자, 2013 흑자전환 매출액 623억 당순익 7억원, 2014 매출539억 흑자 지속 당순익 10억원
**예전...에프엔에스테크<5800-6500>오리온테크<7900-8300> 선재하이<12200-1380>플러스기<9500-10600> 이츠웰<7700-8600> 다쓰테크-태양광인버터<7200-8100>
**신규 : 블랙야크 잡코리아 카페베네 티맥스 지오영 천호식품 신한기계 코스메카코리아 알티베이스 ak켐텍 동구바이오 kt렌탈 kt텔레캅 동부생명 동부대우전자 동부팜한농 이노션, 롯데정보통신, 롯데리아, 롯데카드, lg c&s sk d&d sk e&s
###스탁가이드 http://cafe.naver.com/stocksguide